티스토리 뷰
여름이 되면 덥고 습한 것도 스트레스지만 가장 스트레스받는 것은 빨래 쉰내입니다. 특히 냄새에 예민한 저 같은 경우에는 어느 순간부터 빨래에서 냄새가 나고 나서부터 굉장히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삶아도 냄새가 나는 옷들은 다 처분했을 정도로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 꿉꿉한 냄새를 없앨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빨래 쉰내 원인, 빨래 건조 방법, 베이킹소다와 구연산, 세탁기 청소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빨래 쉰내 원인
분명히 좋은 냄새만 났던 빨래에서 갑자기 어느 순간부터 마치 메주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왜 이런 걸까요? 아래에는 빨래 쉰내 원인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냄새 원인
빨래가 쉰내가 나는 주원인은 옷 섬유 속에 서식하는 모락셀라라는 박테리아 때문입니다. 특히 여름철처럼 습한 환경에 쉽게 번식하기 쉬우며 마르지 않은 빨래에서 서식하게 됩니다. 모락셀라는 세제 찌꺼기, 담, 피지 등을 먹으면서 번식하게 되어 이로 인해서 쉰내가 나게 됩니다.
건강 문제
단순히 우리의 후각과 정신 건강에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에게는 피부염, 수막염 등과 같은 피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옷에서 냄새가 나게 된다면 입지 않고 최대한 빨리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빨래 건조
가장 중요한 것은 빨래를 어떻게 건조하냐입니다. 아래에는 빨래 건조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번식 원리
위에도 언급했듯이 빨래 쉰내가 나는 이유는 마르지 않은 빨래에서 모락셀라 균이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빨래 건조 시간을 최대한 빨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올바른 빨래 건조 방법
- 햇볕과 통풍
빨래한 옷은 최대한 햇볕이 잘 들 때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햇볕이 잘 들면서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건조해야 합니다. 햇볕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통풍이 원활해야 빨래에 있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넓은 간격으로 말리기
옷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두고 말려야 합니다. 옷이 닿지 않게 간격을 넓혀주면 습기가 적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 신문지 사용
빨래 사이에 신문지를 끼워 넣게 되면 습기를 흡수하면서 모락셀라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제습기, 선풍기
빨래를 건조하는 곳에 제습기 혹은 선풍기를 두면 효과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특히 이번 여름에 단순히 집에 있는 습도 조절용이 아닌 빨래 말리는 용으로 제습기를 구매했었는데요. 결과는 대만족이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제습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베이킹소다, 구연산
집에 있는 베이킹소다나 구연산을 통해서도 냄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에는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악취 제거 효과
구연산과 베이킹소다는 악취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빨래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는 섬유유연제 대신에 베이킹소다나 구연산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섬유유연제는 습기를 머금기 때문에 빨래 건조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지만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은 냄새를 흡수하고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주어 불쾌한 냄새를 없애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 베이킹소다
세탁할 때 세제와 같이 베이킹소다를 조금 섞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냄새를 중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세탁 과정에서 모락셀라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구연산
구연산은 빨래 건조기와 같이 사용하면 쉰내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건조기에 베이킹소다와 같이 구연산을 넣어 사용하게 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식초
그 외에도 식초는 빨래를 헹굴 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식초의 산성 성분으로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쉰내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빨래를 헹굴 때 약 두 숟가락 정도의 양을 넣어 사용해 보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세탁기 청소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도 냄새가 난다는 것은 세탁기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세탁기를 바꿔야 할까요? 그전에 내부를 청소해서 해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세탁기 청소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세제통 | 세제통은 물기 뿐만 아니라 세제 찌꺼기가 쌓일 수 있게 됩니다. 일주일에 한 번 씩 분리해주고 미지근한 물로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제 통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냄새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
세탁조 | 비어 있는 세탁조에 과탄산수소를 한 컵 넣어주고 따뜻한 물을 약 80%정도 채워줍니다. 표준 세탁으로 실행하고 세탁조 내부를 청소해줍니다. 세탁조 내부의 먼지나 세제가 제거되면서 냄새 문제를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배수, 급수 필터 | 배수 필터의 뚜껑을 돌려서 분리한 후에 칫솔과 같은 솔로 세밀하게 청소해줍니다. 수도꼭지를 잠근 후 급수 호스를 분리해준 후 연결 부위의 거름망을 닦아줍니다. 이물질을 철저하게 제거해주면 세탁기가 원활하게 작동하게 될 수 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정보
건강과 관련된 포스팅을 같이 올려드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